목록Visual Studio (5)
HaPpY hApPy
var host = new WebHostBuilder() .UseUrls("http://*:5000;") .UseKestrel() .UseContentRoot(Directory.GetCurrentDirectory()) .UseIISIntegration() .UseStartup() .Build(); host.Run(); 그리고 아래에 보라색 추가. "start": "concurrently \"webpack-dev-server --env=dev --hot --inline --port 8080 --host 192.168.254.77\" \"dotnet run\" ",
작업하다보니 3rd party api가 너무 큰 데이타 양을 리턴,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메모리 부족현상 발생. 1. devenv.exe 파일 먼저 백업2. cmd창 열어서 C:\Program Files (x86)\Microsoft Visual Studio 14.0\VC\bin 폴더로 이동- 여기서 Microsoft Visual Studio 14.0 는 2015버전, 이하버전은 12, 10 등등 알아서 찾아가면됨. 3. 아래 명령어 실행editbin /LARGEADDRESSAWARE "C:\Program Files\Microsoft Visual Studio 10.0\Common7\IDE\devenv.exe" 만약 editbin이 없을경우 vs 설치하면서 vc++ 을 설치하지않고 c#등만 따로 설치해서 그런..
인터넷 검색하다가 바로 설치본 찾음. 저 처럼 고생하시는분 없기를,,
http://www.red-gate.com/products/dotnet-development/pinvoke 위 사이트 접속해서 다운로드후 설치하면 위와 같이 Pinvoke.net 이 생김. Insert Pinvoke Signatures... 선택한다음 위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함수명을 적고 Serch 누르시고, C#에서 Pinvoke 할꺼면 Language 를 c#으로 바꾼후 Insert 눌러주면 됩니다., 이제 Pinvoke 할때마다 웹을 뒤지지 않아도 된다 @.@
Visual Studio가 설치된 컴퓨터에서는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은 컴퓨터에서 실행파일만 가지고 프로그램 실행할때, MSCVCR110.DLL 이 없다고 에러날수 있음, 이럴경우 디버깅할때 물론 Release로 디버깅 하고 따로 Project -> Properties -> Configuration properties -> C/C++ -> Code Generation -> Runtime Library 를 Mutilthreaded.dll 에서 그냥 Multithreaded 로 고쳐주면됨 ;)